반응형

2025 재산세 기준 조회방법

 

재산세 기준을 정확히 알아야 예상 세액을 확인하고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과 기준일은 언제인지’, ‘과세표준은 어떻게 산정되는지’,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뭔지’ 헷갈리기 마련이죠. 오늘은 2025 재산세 기준 조회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재산세 부과 기준일

2025년 재산세 부과 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이 날을 기준으로 소유자가 누구냐에 따라 납세 의무가 결정됩니다. 즉, 5월 31일에 집을 팔았다면 새 주인이 세금을 내고, 6월 2일에 샀다면 매도인이 세금을 부담하게 됩니다.

과세표준 산정 기준

재산세는 시세가 아니라 공시가격을 기반으로 합니다. 여기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확정합니다. 2025년 주택 공정시장가액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3억 원 이하: 43%
  • 3억~6억 원: 44%
  • 6억 원 초과: 45%

이렇게 계산된 과세표준에 따라 0.1%~0.4%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지방세 부가세 기준

재산세 본세 외에도 지방교육세(본세의 20%), 도시지역분(과세표준의 0.14%)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본세만 계산하면 실제 납부액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재산세 기준 조회방법

위택스(WETAX) 또는 이택스(ETAX)에 로그인하면 본인의 재산세 고지서에서 과세표준, 세율, 감면 여부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부결과조회 → 상세내역’ 메뉴를 이용하면 기준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기준일 이전에 매매 계약을 했는데 잔금은 6월 이후에 냈습니다. 누가 세금을 내나요?
A. 잔금일 기준 소유자가 아니라, 6월 1일 현재 소유자가 납부합니다.

Q. 공정시장가액비율은 매년 바뀌나요?
A. 네, 정부 정책에 따라 매년 조금씩 조정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은 주택 43~45%입니다.

Q. 고지서에서 세부 기준이 보이지 않아요.
A. 위택스/이택스 납부 상세내역을 확인하면 과세표준과 세율 적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5 재산세 기준 조회방법을 미리 알아두면 고지서를 받았을 때 왜 이런 금액이 나왔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부과 기준일, 과세표준, 세율, 부가세까지 꼼꼼히 확인하시고, 필요하다면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세액을 직접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